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현재 위치

  1. 게시판
  2. 공지사항

공지사항

공지사항입니다.

어버이날
제목 어버이날
작성자 유차근 (ip:121.188.184.119)
  • 작성일 2011-05-06 13:05:14
  • 추천 6 추천 하기
  • 조회수 501
  • 평점 0점

정의
매년 5월 8일 부모의 은혜에 감사하고 전통적인 효사상의 미덕을 기리기 위해서 정한 국가기념일.

 

유래 및 제도화
전통적으로 효는 한국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도덕이며 윤리이다. 그러므로 전통적 가치관에서 본다면 어버이날을 별도로 지정하여 둘 필요는 없었다. 어버이의 은덕에 감사드리는 기념일이 제정된 배경은 사회적 변화와 관련이 깊다. 우리나라에서는 1956년부터 어머니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아버지와 어른, 노인들을 포함하여 어버이날로 개칭한 것은 1973년의 일이다.
어머니날의 유래는 서양에서 비롯된다. 영국과 미국 같은 기독교 국가에서 어머니 주일을 지키는 종교적 관습이 있었다. 미국의 경우에는 1872년 보스톤 지역 교회를 중심으로 어머니날이 제안되었으나, 범국가적인 어머니날 제정 움직임은 필라델피아 출신 여성인 아나 자비스가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1907년 모친의 2주기 추모식에서 흰 카네이션을 교인들에게 나누어 주고, 어머니날을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마침내 1914년 미국 제28대 대통령 토머스 우드로 윌슨이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로 정하면서부터 정식 기념일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어머니날도 기독교 단체에서 시작하였다. 1930년 무렵부터 구세군 가정단에서 어머니 주일을 지키기 시작하였고, 1932년에는 감리교 연합회에서 5월 둘째 주일을 부모님 주일로 지킬 것을 결의하였다. 미국의 기독교 전통에서 시작된 어머니날이 유교적 전통을 가진 우리나라에 뿌리내리면서 우리 고유의 어머니날로 발전하게 되었다. 1973년부터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포함하는 어른, 노인들을 공경해야 하는 전통적 미덕을 기리는 기념일로 거듭나게 되었다. 어버이날이 제정된 초기에는 이날을 전후해 일주일 동안을 경로주간으로 정하여 양로원과 경로당을 방문하는 등 어른 공경에 관한 사상을 높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1997년부터 경로주간이 폐지되고 10월 2일을 노인의 날로, 10월을 경로의 달로 정해 별도로 시행하고 있다.

내용

어버이날 가정에서는 부모와 자녀들이 모여서 부모님의 은혜를 기리는 각종 기념행사를 한다. 부모님에게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고, 선물을 전달하며, 온 가족이 부모를 모시고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국가에서도 어버이날 행사를 성대하게 치른다. 정부에서는 보건복지부의 주관으로 모범가정을 정하여 포상하며, 장한 어버이, 효자효부를 선발하여 상을 주고 격려한다. 이들은 훈격에 따라 국민훈장, 국민포장, 대통령, 국무총리,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으로 나누어 포상한다. 부상으로 일정액의 상금도 준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효사상과 경로사상을 높이기 위해 유사한 행사를 한다. 또 지역민의 날을 별도로 정하지 않고 어버이날에 맞추어서 시민들을 위한 각종 행사를 열기도 한다. 이날 가족 노래자랑, 합동 회갑연, 연예인 초대잔치를 비롯해 체육대회, 효도관광, 효행 사례집 발간, 가훈 갖기 운동 전개, 카네이션 달아드리기 같은 다채로운 행사가 전국 방방곡곡에서 열린다.

인접국가사례
미국에서는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날로 정하고 6월 셋째 주 일요일은 아버지날로 정하고 있다. 영국이나 그리스에서는 기독교 전통에 따라서 사순절 기간 동안 부모의 영혼을 기리는 풍습이 있다. 서구의 기념일이 우리나라의 효사상과 결합하여 의미 있는 기념일이 되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미국의 경우와 유사하게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날(母親節, 母の日)로 정하고, 아버지날(父親節, 父の日)은 셋째 주 일요일로 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중국, 일본 모두 어머니에게 빨간 카네이션을 달아드리며, 선물을 드리면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한다.

의의
어버이날을 공휴일로 정하고 범국민적 행사를 벌이는 것은 국가가 효사상, 경로사상 같은 전통적인 우리의 윤리규범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이날은 전통적인 효가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규범이며 문화적 가치임을 재확인하는 기회이기도 하다. 어버이날을 기념일로 정하고 카네이션을 다는 의식은 미국의 기독교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다. 서양의 종교, 문화가 들어오면서 함께 유입된 이 기념일이 자리매김을 하는 과정에서 유교적인 효사상과 결합되어 가장 전통적인 기념일이 되었다.

 

참고문헌
韓國의 孝思想 (金益洙, 瑞文堂, 1977)

첨부파일
비밀번호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수정 취소

/ byte

댓글 입력

이름 비밀번호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